기자의 눈> 브리핑룸 설치와 일상화된 출입기자 오찬, 문제는 없는가?

2006-10-25     강찬호 기자

                        

현재의 시청 기자실을 별관2층으로 확장 이전하는 예산안이 지난 임시회에서 통과됐다. 명분은 ‘브리핑룸’이다. 현재의 7평 남짓 공간을 23평으로 확장하는 계획이다. 그리고 브리핑룸 설치에 소요되는 제반 예산으로 2천8백만원 정도가 배정됐다. 예산은 부스 설치, 방송시설, 냉장고, 복사기, 책상 등 비품 구입및 설치 등에 사용된다. 소관 상임위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일부 의원들은 ‘브리핑룸 설치는 기자실이 확장된 또 다른 버전’이라며 반대의사를 표시하기도 했다고 한다. 그러나 결과는 통과되었다.

<광명시민신문>은 브리핑룸이 필요한 것인지에 대해 지난 8월24일자로 보도를 한 바 있다. 기자실이건, 브리핑룸이건 경기도 지역의 대부분은 10평 내외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시는 브리핑룸에 대해 지역에서 활동하는 시민사회 단체들이 기자회견 장소로 사용하거나, 시 행정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장소로서 브리핑룸을 설치할 필요성이 있다고 추진이유를 설명한다. 그러나 궁색해 보인다.

기자회견장에 대한 지역의 요구가 얼마나 많은지, 시가 브리핑룸이 없어 시의 사업이나 행정에 대해 설명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인지 의아할 뿐이다. 지금의 중회의실이나 재난관리실을 잘 활용하면 되는 것은 아닌지 역시 고려할 일이다. 물론 시가 행정에 대해 적극적으로 설명하겠다는 것은 고무적이다. 그렇게 할지는 지켜볼 일이다. 그러나 그것이 곧바로 브리핑룸 설치여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어떤 설득력을 가질지 의문이다.

왜 지금 23평대 ‘기자실’ 혹은 ‘브리핑룸’이 꼭 필요한 것인지에 대해서, 시는 브리핑룸 없이도 설명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시 의회 역시 관련 예산안을 심의하는 과정에서 기자들 눈치를 의식한 것은 아닌지 의구심이 든다. 결과적으로 시는 브리핑룸 예산을 편성했고, 의회는 이를 승인한 꼴이 되었다. 이제 시와 시의회의 ‘조치’에 대한 시민들의 판단과 평가만 남았다.

기자실 폐쇄를 주도하고, 기자실 확대를 강하게 반대를 해온 공무원 노조 역시 이번 예산안 처리에 대해 미처 대응을 하지 못했다며, 뒤늦게 이런 사실을 알았다는 반응이다. 공무원 노조 사무실 폐쇄 조치 등 공무원 노조 내부 현안이 너무 긴박하고 바빴던 탓이다. 공무원 노조 관계자들 역시 이번 예산안 통과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600여명의 조합원이 가입되어 있는 공무원 노조 사무실이 폐쇄돼 콘테이너에서 생활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자실을 확대하는 것에 대해 어이가 없다는 것이다. 시민단체들과 함께 이 문제에 대해 본격적으로 대응하겠다며 대책을 세우겠다는 반응이다.

한편 지난 행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시는 올해 상반기 동안 출입기자들과 오찬 등의 명목으로 820여만원의 예산을 지출하고, 그 횟수 역시 91회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산은 시책추진업무추진비로 1,800여만원의 예산이 배정되어, 상반기 동안 이같이 지출된 것이다.

전년도와 비교하면 그 증가는 더욱 놀라운 수치다. 전년도 관련 예산은 120여만원 정도였다. 지출도 이 범위 안에서 진행되었으며 횟수도 7회에 그쳤다. 이렇게 증가된 예산 편성은 지방선거를 겨냥한 선심성 편성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와 같이 지출되는 비용이 시가 공식적으로 진행하는 기자간담회 성격보다도, 기자들과 적극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차원의 오찬 비용이어서 그 용도 역시 문제다. 사실상, 점심시간이면 기자들과 오찬이 일상적으로 진행이 되고 있고, 이 비용이 예산으로 지출이 되고 있는 것이다. 기자실을 확장하고, 일상화된 기자들과의 오찬이 시민들에게 어떤 설득력을 가질지 궁금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