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농업 그리고 ‘시민’과 ‘농민’ 사이...
도시농업 그리고 ‘시민’과 ‘농민’ 사이...
  • 박영재
  • 승인 2011.08.26 09: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영재(광명텃밭보급소 사무국장)

광명텃밭보급소 옥길텃밭 현장. 농자재보관창고 비닐하우스동이 설치되고 27일 오후4시 입주식을 갖는다. 도시농업, 도시텃밭이 주목 받고 있다. (사진. 광명텃밭보급소)

토양을 살리는 문제에 대한 원로 농학자와의 토론이 있었다. 친환경 유기농에 대한 실랄한 비판이 쏟아졌다. 화학비료 한줌이면 해결될 문제를 축산 분뇨를 실어와(화석연료 사용), 톱밥 실어와(화석연료 사용), 발효과정에서 매탄가스 발생해, 대량으로 농가에 실어다 주면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어떻게 설명하겠느냐는 요지였다.

게다가 그 효과는 유기물이 무기물로 바뀌는 시간을 허비하니 얼마나 큰 손실이냐는 것이다. 과학에 근거해야지 무당 푸닥거리를 하고 있다며 해박하고 현학적이기 까지 한 다양한 도표와 사진 자료를 첨부했다.

도시농업 아니 친환경 농업에 대한 일반 소비자들의 관심이 집중되면서 70년대 녹색혁명을 이끌었던 원로들을 마치 환경오염의 주범이고, 식품 안전을 저해한 원흉으로 취급하여 입지가 축소된 것에 대한 항변 또는 울분을 토해내는 것 같았다.

그런데 여기에 더해서 4대강 사업을 국토 전체에 대해서 배수로를 확보하는 훌륭한 사업이라고 칭송하는 대목에서는 정말 아연해 질 수 밖에 없었다. 결국 원로 학자의 말에서 과학은 사라지고 당파성만 남았다.

도시농업은 농업인이 아닌 시민들이 생산적인 소비를 만들어 가기위해 벌이는 운동이다. 그리고 거기에 대해서 들어가는 종자에서 모든 자재를 생활 속에서 버려지는 자원을 순환하여 자급하는 생활 문화 운동이다.
이 운동이 기존 농업인에게는(특히 친환경 농업인이 아닌) 커다란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는 모양이다. 비단 이번 토론회 말고도 다양한 토론회에서 농민들의 볼멘 목소리들이 들려온다. 소비자들이 도시농업을 통해 상품이 생산되는 과정을 너무 속속들이 알아가고 있다는 데에 대한 불안감이다.

광명시는 다른 시, 구와 달리 ‘시민농업’ 조례를 제정하였다. 누가 농사를 짓느냐의 문제로 접근한 것이다. 여기에 더 나아가 농업이 아닌 농사로 바꿀 수는 없을까? 시민농사조례 또는 시민텃밭조례 이렇게 말이다.

건강한 소비자의 생산활동이 농민들의 자발적인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있어야 이 운동은 성공을 한 것이다. 상업적으로 만들어진 농자재를 통해서가 아니라 지역에서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 낙엽, 하수 오니를 퇴비로 만들고, 보도블록 교체로 버려지는 벽돌을 폭우에 쓸려 내려가는 토양을 잡아내도록 활용하는 지역 내 폐자원의 선순환을 이끌어 내야한다.

이 운동을 이끌어 갈 시민을 양성하는 ‘광명도시농부학교’가 현재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이런 시민들이 학교, 지역사회 곳곳에서 강사로, 시민농장 운영자로, 또 다른 사회적 기여를 만들어낼 사회적 기업 활동가로 길러내기 위해서 평생학습원에서 ‘도시농업 지역리더 과정’을 진행할 계획으로 현재 학생을 모집하고 있다.

토론에 참여했던 원로 학자는 현재 함께 농사지을 계획을 짜고 있다. 다행하게도 이분은 시민들이 농사를 이해하려고 애쓰고 애정을 쏟는 것에 대해서 고맙게 생각하고 계셨다. 열 평정도 땅을 드리고 당신이 하고 싶어 하시는 방식대로 내버려둘 생각이다. 내 나름의 원로를 대접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전적으로 우리를 이해해 주시길 기다릴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