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학교의 마음풍경
2월 학교의 마음풍경
  • 양영희(하중초교사, <혁신학교보내도 될까요> 공동저&
  • 승인 2015.02.25 18: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며칠 남지 않은 봄방학, 아이들은 학교에 없지만 교사들은 마음이 어느 때보다 분주하다.
새 교육과정을 짜고 새로 만날 아이들을 맞을 준비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준비 중의 하나는 작년에 만난 아이들과 이별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작년 우리 아이들은 누구에게 부탁해야 우리가 계속 같이 살 수 있는지 물었다. 그러나 나는 내 마음대로 결정할 수 없는 문제라고 답했다.

‘선생님 우리 이대로 평생 살고 싶어요.’
이렇게 말하던 아이들이
‘교장선생님을 만나야 하나요? 대통령을 찾아가야 하나요?’
그러자 한 아이가
‘우리 엄마는 부장선생님이라 맘대로 다 할 수 있는데’라고 말했다.
아이들이 그 아이에게 집중하며
‘너희 엄마한테 말해 그럼’
그러자 그 아이가 당황해했다.
‘근데 우리 엄마가 중학교에 있어서 그 학교에서만 맘대로 할 수 있어’
아이들이 이내 실망한다.
결국 아이들은 헤어지는 마지막 날 내 품에 안겨 울었다.

▲ 매년 아이들과 헤어진다. 아이들은 아이들대로, 교사는 교사대로 새로운 만남을 준비한다. 헤어짐과 만남이 반복된다. 익숙함과 낯설음 그리고 마음은 어디로 향하는지. -편집자주-


학교는 해마다 만나고 헤어지는 일을 하도록 시스템화 되어 있다. 그 이별의 단위는 시간과 공간과 사람을 포함한다. 그러나 아이들의 마음이나 불안, 슬픔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렇게 이별을 밥 먹듯 하고 난 아이들은 몇 해가 지나면 이별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지도 않는다. 이별에 의미가 사라진다는 건 만남에도 의미가 사라지는 일과 같다. 만남과 이별에 의미가 사라진다는 건 ‘사람’에 대한 ‘마음’이 사라지는 것이다. 아이들이 마른 감정으로 딱딱한 책걸상을 마주하고 앉아있는 장면은 상상만으로도 상막하다.

당연히 오래 보지 않을 사람, 일 년만 견디면 되는 사람을 대하는 태도는 진정성을 기대하기 힘들다. 교사도 아이들도 학부모도 모두 마찬가지이다. 매년 학기 초 모두가 같은 신 학년 스트레스를 반복하며 우리는 서로를 탐색하고 익숙해지는데 드는 에너지를 교육에서 탕진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런 일을 반복한 아이들은 다시 만나는 친구들을 풍경처럼 대한다. 그리고 텅 빈 그 마음은 아이들에게 집요하게 강요되는 과목에 대한 부담만 덩그러니 남아 있는지도 모른다. 존중받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과 공부스트레스가 친구나 선생님에 대한 관심대신 가득할지 모른다.

교사들은 일 년을 같이할 새 동료들과 개인적 얘기할 시간도 없이 업무와 교육과정에 대한 협의를 진행해야 한다. 힘든 일은 서로 탁구공처럼 튕겨내며 치열한 조율을 끝낸 학교, 늘 사람이 가까워지는 것은 한쪽으로 미뤄두며 시간 날 때 하는 것으로 되어 버린지 오래다. 그래서 서로 익숙하지 못한 채 진행되는 일들은 삐그덕 마음에 빗장을 채우기도 한다. 이렇게 교사들은 새 학년에 풀어놓을 보따리를 싸고 있고 아이들은 새 학년 공부 준비를 하고 있는 2월이다. 일 년 동안 사용하던 물건들을 새로 배정된 교실로 옮기는 이사도 그 중 하나이기도 하다. 짐을 싸고 이사하는 일로 몸살이 나기도 한다.

나는 잦은 이별 그리고 사람의 마음을 고려하지 않은 인위적 만남들에 몹시 지쳐 감을 느낀다. 이렇듯 종소리 나면 책을 덮는 수업시간처럼, 일 년의 단위로 만나고 헤어지는 일들을 아무렇지도 않게 하는 것에 익숙해지는 것은 누구나 적용되는 건 아닌 것 같다. 학기의 시스템과 똑같이 마음이 움직여지지 않는 내면의 저항 같은 것이 사람의 마음에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사람을 향해 마음의 빗장을 채우지 않으려는, 마음의 본연 같은 고향을 지키려는 것인지도 모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